0.포트폴리오 파일을 올리기 위해 github 회원가입, git 설치와 기본 설정이 이뤄져야 함.
git 설치, 회원가입 =>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닉네임" /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" 입력.
=> git config --list (입력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)
1. 자신의 git hub에 들어가 repository -> new repository 생성
2. git init : 깃 저장소를 만드는 명령어. 로컬에 깃 저장소를 만든다.(처음에만 입력하면 된다)
vs code에서 깃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법: terminal -> new terminal 클릭 후 git bash 항목을 선택한다.
3. git add : 스테이지에 올리기.
git add . : vs 코드 현재 경로에 있는 모든 파일 올리기.
git add index.html : index 파일만 올리기.
git status: 현재 디렉토리 상태 확인
4. git commit -m "first commit" : 첫번째 커밋. 히스토리를 만드는 과정.
첫번째 커밋임을 선언. 처음에만 해주면 된다.
5. git remote add origin 레퍼지토리 주소
이 명령어를 통해 내 로컬 저장소와 내가 깃 허브에 만든 레퍼지토리 간의 연결고리가 생긴다.
git remote -v는 origin 명령이 잘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다.
6. git push origin master
이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을 모두 origin된 레퍼지토리로 보내겠다는 명령어.
마지막에 [new branch] master -> master라고 뜨면 성공!
레퍼지토리로 돌아가면 이렇게 업로드가 되어있다.
* 중간에 생긴 오류들은 모두 구글링과 스택오버플로우를 통해 해결함.
* nothing to commit, working tree clean 자꾸 이런 오류가 뜬다면 다른 폴더 경로를 사용해보면 해결될 수 있음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검색엔진최적화(SEO, Search Engine Optimization) 설정 방법 (0) | 2023.02.13 |
---|---|
웹 표준이 뭘까? (Feat. W3C) (0) | 2023.01.24 |
[VS code]기본 Extensions 설치하기 (0) | 2023.01.24 |
Live Server 확장프로그램에서 127.0.0.1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없습니다.(vs code) 오류 해결법 (0) | 2022.11.21 |
리눅스(Linux)와 우분투(Ubuntu) (1) | 2022.10.29 |